기본 dfs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|
int LV = 3; // dfs 깊이
int NUM = 6; // dfs 경우의 수
int path[10];
void print(int level)
{
for (int i = 0; i < level; i++) {
printf("%d ", path[i]);
}
printf("\n");
}
void dfs(int level)
{
// 최종 깊이까지 들어가면 출력하고 종료
if (level == LV) {
print(level);
return;
}
// 경우의수에 따라 dfs 호출
for (int i = 1; i <= 6; i++) {
path[level] = i; // 현재값 저장
dfs(level + 1);
path[level] = 0; // 현재값 초기화
}
}
int main()
{
dfs(0);
return 0;
}
|
cs |
기본 bfs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|
int map[10][10];
int visit[10][10];
int fr, re;
struct Node{
int dr, dc, lev;
}buf[10*10];
void push(int nr, int nc, int nlv)
{
// 빠져나올 제약조건
if (map[nr][nc] == 0) return;
if (visit[nr][nc] != 0) return;
// queue 값에 새로운 값 설정
buf[re].dr = nr;
buf[re].dc = nc;
buf[re].lev = nlv;
visit[nr][nc] = nlv;
// re값 다음을 위해 증가
re++;
}
void bfs()
{
int sr = 3;
int sc = 4;
push(sr, sc, 0);
// fr는 bfs들어가기 위한 now
// re는 bfs들어가서 queue를 증가
while (fr < re) {
// 현재 now를 찾고 fr은 다음을 위해 증가
Node now = buf[fr++];
// 갈수있는 방향체크
for (int i = 0; i < 4; ++i) {
for (int j = 0; j < 4; ++j) {
push(now.dr + dr[i], now.dc + dc[i], now.lev + 1);
}
}
}
}
|
cs |
dfs, bfs 아이디어들
- 이어진선, 블럭 등을 위한 기본 처리
- 블럭의 모양을 나타내는 16bit 사용법 (위블럭 있음1, 오른블럭 있음2, 아래블럭4, 왼블럭8) 을 써서 모양을 결정
기본적인 이어진 선 dfs
- 기본적으로는 연결된 갯수를 sum으로 세고
- 위블럭이 있으면1, 오른블럭있으면2, 아래블럭있으면4, 왼블럭있으면8 을 써서 16bit로 블럭스타일계산, 계산된 블럭의 갯수들로 type 배열을 만들어서 저장
'공부 > 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렬(sort) 관련 (0) | 2020.12.09 |
---|---|
부분합 문제 (0) | 2020.12.07 |
hash key 관련 (0) | 2020.12.01 |
구간트리 (최대, 최소) (0) | 2020.12.01 |
DLL + hash 2개 (0) | 2020.11.28 |